구분 | 내용 |
---|---|
산림자원 및 산지 관리체계 고도화 |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산림역할 강화 2. 기능과 용도별 산림자원 관리체계 확립 3. 산지관리체계의 혁신 4. 사유림과 함께하는 국유림의 선도 역할 강화 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기여 |
산림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
1. 목재산업 육성 및 주류산업으로 도약 2. 국산목재 고부가가치화 및 소비 확대 3. 지속가능한 목재생산체계 구축 4. 산림기반 융복합 신산업 육성 5. 산림생명자원 산업화 6. 사람중심 산림자원 순환경제로 좋은 일자리 창출 |
임업인 소득 안정 및 산촌 활성화 |
1. 임업인 소득 향상 및 경영 합리화 2. 소비자와 함께하는 청정임산물 생산·유통체계 확립 3. 임업통상 대응 및 임산물 수출 확대 4. 사회적경제 실현을 통한 산촌 활성화 |
일상속 산림복지체계 정착 |
1. 도시를 숲이 있는 생활공간으로 재창조 2. 산림복지서비스 저변 확대 3. 맞춤형 산림교육 제공 및 교육품질 향상 4. 산림문화 · 휴양 인프라 확충 및 서비스 품질 개선 5. 산림치유서비스 보편화 및 효과성 향상 |
산림생태계 건강성 유지·증진 |
1. 산림생물다양성의 지속적 관리기반 구축 2. 산림생태계서비스 가치 증진 3. 백두대간 등 주요 보호지역의 공정한 관리 4. 한반도 주요산림 훼손지 복원 5. 산림사법경찰 체계 확립 |
산림재난 예방과 대응으로 국민안전 실현 |
1. 과학적 산불예방과 산불진화 대응역량 강화 2. 산림·지역 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재난 안전망 구축 3. 유역단위 산림관리체계 정립 4. 선제적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 |
국제산림협력 주도 및 한반도 산림녹화 완성 |
1. SDGs 달성에 기여하는 국제산림협력 강화 2. 국익 향상을 위한 해외산림자원 확보 3. 개도국 산림전용 방지(REDD+) 등 신기후체제 대응 4. 통일시대 대비 통합적 산림협력 |
산림정책 기반 구축 |
1. 인문 · 사회 · 경제 요소 등 융복합 산림 거버넌스 체계 구축 2. 법 · 제도 등 산림정책 지원체계 혁신 3. 4차 산업 기술의 산림분야 적용 보편화 4. 문제 해결형 산림분야 연구개발 혁신 및 성과 산업화 |
COPYRIGHTⒸ 산림청 SINCE1967.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