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명산ㆍ계곡] 완주 구억리의 왕버들 줄나무
  • 등록일1999-01-23
  • 작성자 / 김**
  • 조회6281
소 재 지 : 전북 완주군 용진면 구억리 원구억마을
소 유 자 : 사유
면 적 : 약 200 m
우 점 종 : 왕버들
수 고 : 20/15 ~ 25 m 느티나무
흉고직경 : 60/30 ~ 120 cm 은행나무
임 령 : 100 ~ 200 년
수 관 폭 : 5 ~ 15 m
지 하 고 : 1.5 ~ 3.5 m
보호지정품격 : 미지정
지 정 사 유 : 전주시의 동북단과 완주군의 접경지역으로서 마을앞의 아스팔트로 포장된 지방도로변에 위치하며 숲을 경계로 농경지가 펼쳐지고 그 앞으로는 진안군과의 경계를 이루는 만덕산(해발 762m)에서 발원되는 작은 하천 소양천이 흐른다. 줄나무를 따라서 바로 옆으로는 농수로가 설치되어 항상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습한 상태를 유지하며 농경지(논) 주변이기 때문에 토양은 비옥한 상태이다.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농수로변의 습한 지역에서도 생육이 왕성한 왕버들을 인공식재한 후 보존되어 오는 노거수 줄나무로서 그 중간에 느티나무, 은행나무, 회화나무, 팽나무, 아까시나무, 단풍나무, 개잎갈나무 등이 혼식 되어 있다. 숲의 구조는 단순한 줄나무로서 아교목 및 관목층이 전혀 없으나 초본층으로는 논두렁에서 혼히 볼 수 있는 쇠무릅, 거북꼬리풀, 개망초, 길뚝사초, 소리쟁이, 닭의장풀, 쇠뜨기 등이 자라고 있다.
원구억마을에는 안동 권씨들이 많이 모여 사는 집성마을로서 이 [마을 뒷산의 모양이 거북이(구)가 무엇을 골똘히 생각(사)하며 앉아 있는 것처럼 생겼다는데서 유래된 [귀사리]라고 표현되다가 그 발음이 변하여 구억리로 불려진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다른 전설에 의하면 [원구억리는 원래 전주에서 멀리 떨어진 구석진 곳이라 하여 [구석말]이라고 불려오다가 구억마을로 변했다]고 한다. 소양천에서 불어오는 강한 북서풍으로부터 농경지와 마을의 가옥들을 보호해 주는 방풍림으로서 커다란 기능을 발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주민들은 숲 속에 정자를 짓고 여름철 뜨거운 태양 아래서 농사일올 하다가 잠시 휴식을 취하는 휴식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또한, 흉고직경 100m가 넘는 느티나무와 왕버들은 마을을 지켜주는수호수로서 지역주민들은 함께 모여 마을의 평안과 농사 풍년을 기원하며 년간 1 ~ 2 회 제사를 올리던 당산림이었으나 최근들어 사회적 변천에 따라 당산림으로서의 기능이 차츰 상실되어가고 있으므로 마을 노인들은 안타까워하고 있다. 마을 주민들은 숲의 효용에 대한 필요성을 절실히 인식하고 있으며 따라서 노거수 및 고령화에 따른 고사목 발생을 대비하여 느티나무, 은행나무, 단풍나무 등으로 후계수를 이미 식재하고 철저히 보호관리 하고 있다.
카테고리
명산ㆍ계곡  
키워드
 
첨부파일
  • t07601.jpg [94.0 KB] 첨부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90회)
만족도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조사선택